본문 바로가기

- 시설 업무지침/·ㄱ~ㅁ53

서울특별시 건설공사 분야별 업무절차(공공건축물 분야-기획단계) 5. 기술용역타당성 심사 1. 기술용역 타당성 심사(담당: 기술심사 담당관)  - 대  상: 「엔지니어링산업법」 및 「건설기술 진흥법」, 기타 개별법에서 정한 시비가 포함된 기술용역(민자유치사업에 의한 건설사업관리 포함)   - 내  용: 용역사업 시행의 타당성, 사업비 산정이 적정성   - 시  기: 사업계획 수립 후 예산편성 전(당해연도 사업은 용역발주 전), 설계 공모 용역은 공모 전   - 절  차구  분절  차담  당1기술용역 사업계획 수립발주기관(부서)2심사 요청발주기관(부서)3타당성 심사기술심사담당관4심사결과 통보기술심사담당관 →발주기관(부서)5사후관리 입력발주기관(부서)   - 제출서류    · 기술용역 타당성심사 요청서    · 용역시행계획 관련 방침서    · 과업내용서    · 용역비 산출조서(개략공사비 산출.. 2024. 3. 10.
서울특별시 건설공사 분야별 업무절차(공공건축물 분야-기획단계) 4. 2030 서울 생활권 계획 협의대상 확인 1. 2030 서울생활권 계획 협의대상 여부 항목 확인 (담당: 도시계획과) - 사업계획의 입안, 심의 등 절차에 2030 서울생활권 계획과의 적합성 확인절차 이행 - 생활권계획 협의대상 여부 표기 · 기술용역 타당성심사/학술용역 심의 - 관련근거 · 2040 서울도시 기본계획 https://urban.seoul.go.kr/view/html/PMNU2020000000 · 2030 서울생활권 운영지침 https://urban.seoul.go.kr/view/html/PMNU2030000000 2024. 2. 28.
서울특별시 건설공사 분야별 업무절차(공공건축물 분야-기획단계) 3. 예비타당성 조사 1. 예비타당성 조사 (담당: 한국개발 연구원(KDI) 공공투자 관리센터 및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 - 대상: 총사업비가 500억 원 이상이고 국가의 재정지원 규모가 300억 원 이상인 신규사업(공공청사, 문화재 복원사업 등 법 제38조제2항 해당사업 제외) - 내용: 본격적인 타당성조사를 실시하기 이전에 비교적 짧은 시간과 적은 비용으로 타당성 조사업무의 추진 여부 및 효율적 사업 추진을 위한 정책적 판단 - 시기: 기획재정부장관에게 매년 4회(분기별 1회) 예비타당성 조사 요구서 제출 - 관련근거 · 예비타당성조사 운용지침 · 「국가재정법」제38조(예비타당성조사) 제38조(예비타당성조사) ①기획재정부장관은 총사업비가 500억원 이상이고 국가의 재정지원 규모가 300억원 이상인 신규 사업으로서 .. 2024. 2. 28.
서울특별시 건설공사 분야별 업무절차(공공건축물 분야-기획단계) 2. 사업계획 1. 운영주체 선정계획 (담당: 사업계획 부서) - 선정시기: 기획부서는 사업의뢰 전에 반드시 운영주체를 선정·완료하여 도시기반시설본부(건축부)에 사업의뢰 - 운영주체 활용방안 · 운영주체를 도시기반시설본부(건축부) 설계자문위원으로 위촉 · 운영주체 의견은 자문회의를 통해 설계에 반영 · 필요시 공사 시행 중에도 본부 자문위원으로 활동 ※ 부득이하게 설계 전에 운영주체가 미선정된 경우에는 기획부서에서 유사사업 운영주체를 자문위원으로 선정하여 도시기본시설본부에 사업의뢰 ※ 선정에 따른 리스크 요소를 검토하고, 필요시 기본설계 단계에서 선정 - 관련근거: 운영자맞춤형 설계 등 사업추진 프로세스 개선계획(시장방침 제26호, '16.2.10.) 2. 사업계획 수립 (담당: 사업계획 부서) - 사전검토 필요사항 .. 2024. 2. 27.
서울특별시 건설공사 분야별 업무절차(공공건축물 분야-기획단계) - 1. 기본구상(2) 4. 건축기획 (담당: 도시공간 기획담당관) - 대상: 모든 공공건축물 사업 - 수립내용: 사업의 필요성, 발주방식 및 디자인 관리 방안, 공간구성 및 운영계획 등 공공건축사업에 대한 사전 전략 수립 - 수행주체: 공공건축사업을 하려는 공공기관(사업부서) - 수행방식 · 직접수행: 임시전담조직(TFT) 구성 또는 사업 전담인력 배치 등 · 전문가(기관): 민간전문가(공공건축가), 국가·지역 공공건축지원센터, 건축사, 건축계획·설계 분야 조교수 이상, 박사학위 소지자에게 의뢰 가능 ※ 건축기획 수행 시 「건설기술 진흥법」에 따른 기본구상을 수행한 것으로 간주 - 관련근거 · 「건축서비스산업 진흥법」제22조의2(공공건축 건축기획의 수행 등) 제22조의2(공공건축 건축기획의 수행 등) ① 공공기관은 건축물등이.. 2024. 2. 24.
서울특별시 건설공사 분야별 업무절차(공공건축물 분야-기획단계) - 1. 기본구상(1) 1. 공사개요 설정 (담당: 사업계획부서) - 다음 사항을 검토하여, 공사내용에 관한 기본적인 개요 마련 · 공사의 필요성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제2조제4호에 따른 도시·군관리계획 등 다른 법령에 따른 계획과의 연계성 · 공사의 시행에 따른 위험요소의 예측 · 공사예정지의 입지조건 · 공사의 규모 및 공사비 · 공사의 시행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 법 제52조제1항에 따라 작성된 동일하거나 유사한 건설공사의 사후평가서의 내용 · 건설사업관리의 적용여부, 공사의 기대효과, 그 밖에 발주청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 관련근거: 「건설기술 진흥법 시행령」제68조(기본구상) 제68조(기본구상) ① 발주청은 건설공사를 시행하려면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검토하여 공사내용에 관한 기본적인 개요(이.. 2024. 2. 23.
MSDS(Material Safety Data Sheet)란? ▣ 개념 ㅇ MSDS(물질안전보건자료, Material Safety Data Sheet)란 물질에 관한 여러 가지 정보를 담은 자료 ㅇ 물질에 관한 정보는 그 물질의 이름, 성분, 유해성, 위험성, 보관방법, 다룰 때 주의할 점, 필요한 보호구, 몸에 묻거나 먹었을 때 등의 응급조치 등 여러 가지 정보가 포함 ▣ MSDS에 포함되는 정보 구 분 정 보 화학제품과 회사에 관한 정보 ㅇ 제품명, 제품의 권고용도와 사용상의 제한 등 유해·위험성 정보 ㅇ 유해·위험성 분류, 예방조치문구를 포함한 경고표지 항목 등 구성 성분의 명칭 및 함유량 ㅇ 화학물질명, 관용명 및 이명, CAS 번호 또는 식별번호, 함유량 응급조치 요령 ㅇ 눈에 들어갔을 때, 피부에 접촉했을 때, 흡입했을 때 등 폭발·화재 시 대처방법 ㅇ .. 2024. 1. 17.
공무직이란? ▣ 개념(서울특별시) '공무직'이란 「국가공무원법」 상의 공무원이 아닌, 상시적·지속적 업무에 종사하며 서울특별시와 기간을 정하지 않은 노동계약을 체결한 사람으로서 공무원이 아닌 노동자이며, 여기서 상시적·지속적 업무란 업무의 객관적 성격으로 보아 연중 계속되는 업무를 말함▣ 서울시 공무직의 직종 분류직종 분류주요업무일반종사원ㅇ 문서정리 및 수발, 자료집계 등 행정지원과 청사운영지원 등의 일반적인 업무에 종사하는 공무직시설정비원ㅇ 청사 내·외부 시설물의 보수·유지·관리업무에 종사하는 공무직환경정비원ㅇ 시설물·녹지의 유지관리, 수상·가로청소 및 환경정비 등의 현장업무에 종사하는 공무직도로보수원ㅇ 도로시설의 보수·유지·관리업무에 종사하는 공무직시설청소원ㅇ 시설물 내·외부 청소 및 쓰레기수거·처리, 위생 등 .. 2024. 1.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