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엔지니어링 vs 건설공사
▣ 건설엔지니어링(Construction Engineering) - 건설엔지니어링은 건설공사를 계획하고 설계하며, 공사의 기술적 측면을 관리하는 분야이며, 다른 사람의 위탁을 받아 건설기술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다만, 건설공사의 시공 및 시설물의 보수ㆍ철거 업무는 제외합니다. - 주요 역할: 공사 전 설계와 계획 수립, 기술적인 문제 해결, 안전성 검토, 자재와 장비 선정, 공정 관리 등이 포함됩니다. - 예시: 구조 설계, 안전 관리, 프로젝트 관리 등 - 관련법령: 「건설기술 진흥법」▣ 건설공사(Construction Work) - 건설공사란 토목공사, 건축공사, 산업설비공사, 조경공사, 환경시설공사, 그 밖에 명칭과 관계없이 시설물을 설치ㆍ유지ㆍ보수하는 공사(시설물을 ..
2025. 3. 10.
건설자재 / 건설부재
건설자재와 건설부재는 건설 분야에서자주 사용되는 용어로, 서로 다른 개념을 나타냅니다. ▣ 건설자재 건축 구조물을 짓기 위해 사용하는 재료를 뜻합니다. 예를 들어, 철근, 시멘트, 벽돌, 콘크리트, 유리, 목재, 석재, 방수제 등입니다. 이 자재들은 조립이나 가공 과정을 통해 건축물이나 구조물의 일부분으로 사용됩니다.▣ 건설부재 건설 구조물의 뼈대를 이루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되는 여러 가지 재료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기둥, 보, 바닥판, 지붕 구조 등과 같이 건축물의 구조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위입니다. 건설 부재는 이미 가공된 형태로 현장에 반입되어 조립하거나 설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론 요약하자면, 건설 자재는 구조물을 짓기 위한 원재료이고, 건설 부재는 자재로 가공된 구조적 구성 요소입니다.
2024. 12. 6.
고용개선지원비란?
▣ 고용개선지원비 - 건설일용근로자의 고용환경 개선과 사회보장 강화를 위한 주휴수당 지급, 건강보험료·국민연금 지원, 고용개선장려금을 말함. ※ 고용개선지원비 공사원가 반영 및 집행을 위한 필수조건 ① '서울시 건설일용근로자 표준근로계약서' 사용 ② '전자인력관리제' 시행(단말기 설치, 근로자 전자카드 발급 안내 지원) ③ '건설정보관리시스템'에서 출력한 노무비 명세서로 기성 및 노무비 청구▣ 적용대상 및 범위구 분적용대상(공사)적용기관적용시점주휴수당공공에서 발주하는 모든 건설공사(소방, 전기, 통신, 문화재공사 포함)서울시, 자치구(시·구 산하 투자·출연기관 포함)'20.7.1.사회보험료(고용개선장려금)건설산업기본법 제2조제4호에 따른 서울시 건설공사(소방, 전기, 통신, 문화재공사 제외..
2024. 7.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