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축 업무지침13 건폐율? 용적률? ▣ 개념 「건축법」제55조(건축물의 건폐율) 및 제56조(건축물의 용적률) ㅇ 건폐율: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면적(대지에 건축물이 둘 이상 있는 경우에는 이들 건축면적의 합계로 한다)의 비율 ㅇ 용적률: 대지면적에 대한 연면적(대지에 건축물이 둘 이상 있는 경우에는 이들 연면적의 합계로 한다)의 비율 ▣ 건폐율 ㅇ 건폐율: 건폐율 산정시 사용되는 대지면적은 건축대상 필지 또는 부지의 면적을 말하며, 건축면적은 건물의 외벽이나 이를 대신하는 기둥의 중심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수평투영면적을 말한다. 대지에 건축물이 둘 이상인 경우에는 모든 건축물의 건축면적의 합계로 한다. 건폐율은 대지에서 건축물이 차지하는 면적을 일정비율 이하로 제한함으로써 여유 공지를 확보하여 도시의 평면적인 과밀화를 억제하고 일조ㆍ채광ㆍ.. 2023. 7. 13. 지목이란? ▣ 개념 지목: 토지의 주된 용도 및 목적에 따라 분류해 놓은 것을 의미하며,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28가지의 지목이 있다.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제67조(지목의 종류)제1항 제67조(지목의 종류) ① 지목은 전ㆍ답ㆍ과수원ㆍ목장용지ㆍ임야ㆍ광천지ㆍ염전ㆍ대(垈)ㆍ공장용지ㆍ학교용지ㆍ주차장ㆍ주유소용지ㆍ창고용지ㆍ도로ㆍ철도용지ㆍ제방(堤防)ㆍ하천ㆍ구거(溝渠)ㆍ유지(溜池)ㆍ양어장ㆍ수도용지ㆍ공원ㆍ체육용지ㆍ유원지ㆍ종교용지ㆍ사적지ㆍ묘지ㆍ잡종지로 구분하여 정한다. ▣ 지목의 종류 지목 부호 정의 전 전 물을 상시적으로 이용하지 않고 곡물ㆍ원예작물(과수류는 제외한다)ㆍ약초ㆍ뽕나무ㆍ닥나무ㆍ묘목ㆍ관상수 등의 식물을 주로 재배하는 토지와 식용(食用)으로 죽순을 재배하는 토지 답 답 물을 상시적으로 직접 이용하여.. 2023. 6. 23. 토지면적vs대지면적 ▣ 개요 민원인으로부터 "토지대장상에 '면적'과 건축물대장상의 '면적'이 다른 데, 왜 그러느냐?"라는 질의를 가끔씩 듣는다. 같은 땅에 대한 면적이면서 왜 다른가? 건축 관계법에서는 토지 이용의 목적, 관리의 수단 등에 따라 명칭을 구분하여 사용한다. ▣ 토지면적 토지면적: 땅을 지칭하는 가장 일반적 용어로써, 공법과 사법을 막론하고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땅에 구조물의 설치 유무와는 관계가 없다. 건축을 하거나 하지 않거나 관계없이 지적상 1필지로 구획된 부분의 전체면적을 말한다. ▣ 대지면적 대지면적: 접도요건을 갖춘 토지로써 건축물을 건축할 수 있는 땅을 특별히 「건축법」에서는 '대지'라고 부른다. 건축법에 따른 건축을 위한 대지로서 형질변경한 부분만을 말하거나 「건축법」제46조제1항에 따른 건.. 2023. 6. 20. 건축이란? ▣ 개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건축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하였을 때는 "건축은 집을 짓는 것"이라는 일반적인 대답을 들을 수 있다. 그러나 우리 건축직 공무원 또는 건축관계자들에게 '건축'이란 신축(New Construcion), 증축(Extension), 개축(Renovation)(Renovation), 재축(Reconstrucion)하거나 건축물을 이전(Relocation)하는 것을 말한다. 「건축법」 관점에서 '건축'은 대지에 '건축물'을 만들어내는 행위를 뜻하며, 그 목적은 건축으로 인한 위험에서 사람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 건축 0. 건축(Architecture) 「건축법」제2조 제1항 제8조 8. "건축"이란 건축물을 신축·증축·개축·재축(再築)하거나 건축물을 이전하는 것을 말한다. 1.. 2023. 6. 9. 이전 1 2 다음 반응형